Skip to content
한국여성재단
  • KR EN
  • 기부
    • 기부안내
    • 성평등 기금
    • W기금
    • SOS 기금
    • 건강지원기금
    • 고사리손 기금
    • 기업기부
    • 특별기념일 기부
      • 주제별 사업기부
  • 사업
    • 사업 안내
    • 성평등문화확산
      • 성평등사회조성
      • 여성안전
      • 수시긴급지원
      • 여성운동 생태계조성
      • 젠더폭력대응
    • 여성인권보장
      • 월경건강권
      • 봄빛장학
    • 여성임파워먼트
      • 여성활동가교육
      • 여성단체역량
      • 여성청년자립
      • 워킹맘교육
      • 여성예술인역량
    • 다양성존중과 돌봄사회
      • 미혼모 교육
      • 이주여성리더
      • 한부모이주여성
      • 해외청소년
      • 싱글맘돌봄
    • 대외협력
      • 여성회의
      • 세계여성재단
    • 지난사업
  • 소식
    • W스토리
      • 기부이야기
      • 사업이야기
    • 공지/공모
      • 공지
      • 공모
      • 발표
      • 초대
    • W뉴스레터
      • 전체
      • 2025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언론보도
      • 보도자료
      • 언론보도
    • 발행물
      • 발행물
      • 소식지
  • 소개
    • 재단소개
      • 인사말
      • 미션과 비전
      • 재단CI
    • 연혁
    • 함께하는 사람들
      • 조직도
      • 고문 및 이사회
      • 위원회
      • 홍보대사
    • 투명경영
      • 재정현황
      • 기부금
      • 공익법인 공시
      • 이사회 회의록
    • 공간 대관
      • 대관소개
      • 공간대관 신청
  • 나의 기부내역 확인
  • 기부금영수증 확인
  • 지금 기부하기
  • KR EN
  • 검색
  • HOME
  • 소식

W스토리

  • 사업이야기

[시설개선사업] 화장실의 참 좋은 변신!

2014.04.25

화장실은 휴식을 취하는 곳, 부드럽게 그러면서도 힘을 주며 자기 자신을 위해 뭔가를 할 수 있는 곳, 혼자서도 행복할 수 있고 자신이 누구인지를 깨닫게 되는 장소다. 독일 시인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말이다. 그의 말처럼 화장실은 단순히 씻고 닦고 배출하기만 하는 공간이 아니다. 속상한 일이 있으면 혼자 숨죽여 울기도 하고,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큰일을 앞 둔 긴장감에 수없이 들락거리기도 하는 화장실은 희로애락이 모두 담긴 중요한 공간이다.

불안, 불쾌, 불편했던 화장실

“화장실 문이 제대로 잠기지 않아서 샤워하거나 볼일 볼 때 신경이 많이 쓰였어요.”

가정폭력피해쉼터인 광양YWCA ’행복을여는집’에서 생활하는 어느 입소자의 말이다.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용하는 화장실에서 문이 잘 안 잠기면 불안하다. 엉거주춤한 자세로 문고리를 잡고 있거나 다른 사람이 우연이라도 볼까 봐 마음이 급하다. 인천에 있는 가정폭력피해쉼터 ‘내일여성쉼터’의 화장실도 마음을 급하게 하는 곳이었다. 퀴퀴한 냄새 때문에 창문을 항상 열어 놓아야 하니 추웠다. 화장실 가는 것도 꺼려지고 들어오자마자 나가고 싶은 곳이었다.

“남녀 공용 화장실인데 문을 열자마자 남자 소변기가 훤히 보여서 곤란했어요.”

배우자가 없는 모자가정이 생활하는 부산 ‘한나빌리지’의 강당 화장실이 그랬다. 그 강당은 입주자와 직원뿐만 아니라 행사나 교육이 있으면 방문객들이 함께 사용하는 곳이다. 남녀 공간이 분리되지 않고 어둡고 역한 악취가 심해서 숨을 한껏 참고 들어갔다. ‘제주가족사랑상담소’는 제대로 된 화장실이 없었다. 가정 폭력 예방 활동과 피해자 상담을 하는 이곳의 화장실은 위생시설과 변기가 갖춰지지 않아 손만 씻는 장소였다. 화장실이 없는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몸과 마음이 힘들었다. 상담 중에 상담소를 나와 옆 건물의 화장실을 이용해야 하는 내담자의 모습을 보며 직원들은 마음이 아팠다.

편안하고, 쾌적하고. 편리한 화장실로 변신

’내일여성쉼터’, ‘행복을여는집’, ‘제주가족사랑상담소’와 ‘한나빌리지’ 에서 일하고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쾌적한 화장실과 욕실은 꿈같은 이야기였다. 빠듯한 살림살이로 화장실과 욕실 수리는 늘 우선순위에 밀려났다. 그들은 낡고 열악한 화장실을 감내하고 있었다.

이제는 더 이상 참지 않아도 된다. 2013년 [해피바스 해피스마일]사업의 지원을 받아 화장실과 욕실 공사를 하였다.이 사업은 일찍이 욕실과 화장실이 여성들의 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역할을 충분히 이해한 아모레퍼시픽복지재단의 후원으로 2009년 시작되었다. 한국여성재단과 함께 진행하는 이 사업은 해마다 여성생활·이용시설 및 비영리 여성단체의 욕실과 화장실 시설 개선을 지원한다.

밝고 편안해진

광양YWCA ‘행복을여는집’ 화장실

가정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내일여성쉼터’화장실

더 이상 창고가 아닌

 ‘제주가족사랑상담소’화장실

남녀 공간이 구분된

‘한나빌리지’ 화장실

“화장실에서 잠을 자도 될 것 같아서 변기에 앉아 잠시 눈을 감아보기도 했어요. 매 맞고 아팠던 몸이 치유되는 기분이 들어요.”

가족의 폭력을 피해 ‘내일여성쉼터’에서 생활하는 어느 여성은 처음에 화장실에 가기가 너무 싫었다. 지금 그녀는 화장실에서 샤워하는 시간이 행복하다. 행복과 안정을 느끼는 것은 [해피바스 해피스마일] 시설개선을 한 모든 단체에 공통적으로 일어난 변화다. 누구는 화장실이 호텔처럼 좋으니까 자신이 대접받는 것 같아서 우울한 기분이 사라진다고 한다. 손만 씻고 냉큼 나오던 화장실에서 거울을 보고 화장을 고치고 옷 매무새를 고치기도 한다. 화장실에서 숨을 더 이상 안 참아도 된다고 함빡 웃는다. ‘제주가족사랑상담소‘ 이용자는 더 이상 밖에 있는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기분이 좋다.

불편하지 않고 편리한, 불결하지 않고 깨끗한, 불안하지 않고 편안한, 불쾌하지 않고 쾌적한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사람은 건강해지고 행복을 느낀다. 행복을 느끼면 마음이 안정되고 긍정적이게 된다. 화장실과 욕실의 참 좋은 변신이다. 화장실과 욕실을 ‘아름다움과 건강이 시작되는 행복한 공간’으로 바꾸려 애쓰는 [해피바스 해피스마일]사업이 있기에 가능하다. 2014년에도 [해피바스 해피스마일]사업은 계속된다.

 

송재금(고곰세)

고곰세는 세상과 소통하는 글, 삶을 가꾸는 글쓰기를 지향합니다.

 

한국여성재단과 아모레퍼시픽복지재단이 함께하는

Happy Bath, Happy Smile, ARITAUM in U 시설개선사업

한국여성재단은 지난 2009년부터 아모레퍼시픽복지재단의 후원으로 여성생활, 이용시설 및 비영리 여성단체의 열악한 시설을 개선하고, 지역 내 소통할 수 있는 여성 대안공간을 창출하는 시설개선사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목록

연관 W스토리

2023.06.07
사업이야기

[다문화이주여성가족 여성청소년 장학사업] YOUTH POWER 우수장학생을 소개합니다!②

2023.06.07
사업이야기

[다문화이주여성가족 여성청소년 장학사업] YOUTH POWER 우수장학생을 소개합니다!①

2022.02.14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Ⅲ 6명의 대표님을 소개합니다 🎦

2022.01.04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Ⅲ] 함께 꾸는 꿈은 반드시 현실이 된다 ‘최종 성과보고회’ 개최

2021.12.31
사업이야기

변화를 만드는 여성리더 지원사업

2021.12.06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최종 성과보고회 개최

2021.11.26
사업이야기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진행

2021.09.02
사업이야기

[Mom-Up Project] 내가 상상했던 공부방이 만들어졌어요!

2021.08.04
사업이야기

[소식지] 미래를 변화시킬 주역이 될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2021.08.02
사업이야기

[보도자료] EY한영・한국여성재단, 미래세대 여성청소년 19명에게 3년 연속 장학금 지원

2021.06.28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 ④ – 내일을 여는 내 일은 마을버스 기사입니다.

2021.06.10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 ③ – 서초11 새내기 마을버스 기사를 소개합니다.

2021.06.03
사업이야기

장학생 오리엔테이션 개최

2021.06.01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② – 마을버스기사를 향한 도전!

2021.04.30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① – 2% 비율,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1.04.01
기부이야기

“6년간의 배분위원회 임기를 마치며”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3.05
사업이야기

2020-21 My Future, My Business III: 위기를 기회로, 기회를 변화로_네트워크 워크숍

2021.03.03
기부이야기

한국여성재단과 연세대여성치과의사회와 함께 한 2020 [With Mom Project]

2021.02.26
사업이야기

이케아코리아-한국여성재단, 4년 연속 양육미혼모 지원사업 ‘맘업 프로젝트’에 1억원 기부

2020.12.15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1차 ~ 3차 역량강화 교육 진행

2020.10.26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개최

2020.09.24
사업이야기

[발표] ‘2020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최종 합격자 발표

2020.08.18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마을버스에서 만난 사람들 이야기 ‘마음버스’

2020.07.09
사업이야기

[Mom-Up Project]양육미혼모지원사업 홈퍼니싱 플래닝서비스 진행

2020.04.22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③

2020.03.23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②

2020.03.09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①

2020.01.13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참여자 격려 및 나눔의 밤 개최

2020.01.06
사업이야기

이케아코리아-한국여성재단, 3년 연속 양육미혼모 지원사업 ‘맘업 프로젝트’에 기부금 전달

2019.12.31
사업이야기

2019 변화스토리_더하기와 빼기: 안산여성노동자회

위로 가기
한국여성재단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사이트맵
  • 오시는 길
  • 여성가족부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재단법인 한국여성재단
주소 : (04001)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길 13(서교동) 한국여성재단빌딩 5층
전화 : 02-336-6364| 이메일 : womenfund@womenfund.or.kr| 대표 : 장필화| 사업자등록번호 : 220-82-03892
후원계좌 : 예금주 - 재단법인 한국여성재단 
(NH농협 1279-01-000251, 국민 079-01-0405-971)
미래포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