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한국여성재단
  • KR EN
  • 기부
    • 기부안내
    • 성평등 기금
    • W기금
    • SOS 기금
    • 건강지원기금
    • 고사리손 기금
    • 기업기부
    • 특별기념일 기부
      • 주제별 사업기부
  • 사업
    • 사업 안내
    • 성평등문화확산
      • 성평등사회조성
      • 여성안전
      • 수시긴급지원
      • 여성운동 생태계조성
      • 젠더폭력대응
    • 여성인권보장
      • 월경건강권
      • 봄빛장학
    • 여성임파워먼트
      • 여성활동가교육
      • 여성단체역량
      • 여성청년자립
      • 워킹맘교육
      • 여성예술인역량
    • 다양성존중과 돌봄사회
      • 미혼모 교육
      • 이주여성리더
      • 한부모이주여성
      • 해외청소년
      • 싱글맘돌봄
    • 대외협력
      • 여성회의
      • 세계여성재단
    • 지난사업
  • 소식
    • W스토리
      • 기부이야기
      • 사업이야기
    • 공지/공모
      • 공지
      • 공모
      • 발표
      • 초대
    • W뉴스레터
      • 전체
      • 2025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언론보도
      • 보도자료
      • 언론보도
    • 발행물
      • 발행물
      • 소식지
  • 소개
    • 재단소개
      • 인사말
      • 미션과 비전
      • 재단CI
    • 연혁
    • 함께하는 사람들
      • 조직도
      • 고문 및 이사회
      • 위원회
      • 홍보대사
    • 투명경영
      • 재정현황
      • 기부금
      • 공익법인 공시
      • 이사회 회의록
    • 공간 대관
      • 대관소개
      • 공간대관 신청
  • 나의 기부내역 확인
  • 기부금영수증 확인
  • 지금 기부하기
  • KR EN
  • 검색
  • HOME
  • 소식

W스토리

  • 사업이야기

공간의힘, 변화의 힘, 사람의 힘-대전열린가정폭력상담센터

2017.06.09

공간에 힘이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공간에 인연을 만들고, 상처를 치유하고, 삶을 사랑하게 만드는 힘이 있단다. 대전열린가정폭력상담센터 사람들의 이야기다. 대전열린가정폭력상담센터는 대전 동구 성남동의 한적한 주택가에 자리하고 있었다. 낮은 담장으로 어깨동무한 골목 따라 이리저리 걷다보면 문득 마주친다. 찾아가는 길이 정말 그렇다. 성남동 주민센터를 목적지로 두고 근처 골목을 이리저리 걷다보면 만나게 된다. 작고 오래된 동네다 보니 길을 해매일 일도, 잃을 일도 없다. 상담센터는 그 골목 어디쯤 자리하고 있었다. 2001년부터 시작했다고 하니 1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이 골목과 어울려 지냈을 센터, 그래서일까? 특별할 것 없는 수더분한 외관이 왠지 모르게 정겨웠다. 안내를 받아 올라간 곳은 2층 교육장이었다. 첫 방문이라면 조금 놀랄 수도 있겠다. 이 교육장이 센터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선 기대하지 못할법한 비주얼(?)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우선 화이트 톤으로 꾸며진 바닥과 외벽이 훤해서 눈이 시원했다. 천장엔 시스템 에어컨과 빔 프로젝트가 단정하게 달려 있었고 교육장 안쪽엔 작지만 세련된 홈바가 있어 다소 단조로워 보일 수 있는 공간에 아기자기함까지 더하고 있었다. 대전열린가족폭력상담센터는 3번의 고배를 마신 후에야 작년 공간문화개선사업에 선정됐다. 김순란 부소장은 선정 소식을 듣고 너무 기뻐서 울었다. 그가 부족한 인력에 시달리면서도 밤을 새워가며 신청서를 쓴 이유가 있었다. 간절했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사연 때문이다. “상담센터에 오시는 분들은 대게 마음의 상처를 갖고 있어요. 가정폭력, 불화에 시달리다 보니 마음이 어지럽고 우울한 분들이 많이 오시죠.이런 분들과 함께 치유의 시간을 갖고 상담을 하는 유일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교육장 자체가 우리의 열악함이 여실히 보이는 공간이다 보니 오시는 분들이 집중하기도 어렵고 저희도 너무 미안했죠.”(김순란 부소장) 누수에 천장은 내려앉았고 오래된 벽지와 바닥이 더없이 칙칙했었다. 하다못해 빔 프로젝트를 한번 쓰려면 의자를 두 개씩 겹쳐 올려야 겨우 사용이 가능할 정도였다. 상담의 전문성과 수준 높은 치유프로그램, 자원 활동가들의 열정 등 모든 걸 갖고 있었지만 정작 공간이 엉망이었던 것이다.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공간이었기에 앉을 자리를 비롯해 조명 등 아주 사소한 것도 신경 쓰고 싶었지만 여건이 따라주지 않았다.

before after

대전열린가족폭력상담센터는 1년에 1800건의 상담이 이루어질 정도로 내담자의 방문이 많은 곳이다. 이곳에서 그 많은 이들이 자신의 상처를 고백하고 무너진 가정과 자신을 추스르는 힘을 얻어갔다. 거기에 더해 이곳 센터가 더욱 특별한 이유가 있다. 내담자로 방문했다가 이제는 가족상담 전문가의 길을 걷고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내담자의 삶 자체를 바꿔놓는 공간이기도 했던 것이다. “제가 우리 집에서 제일 우울한 사람이었어요. 엄마인 제가 우울하니 가족 분위기가 엉망이었죠. 사는 게 짐스러웠는데 여기 와서 많이 내려놓았어요. 집이 금산인데 한 달에 한 번씩은 꼭 와요. 친정에 오는 기분이거든요. 마음이 편해지고 잡념이 없어져요.”(김민수 자원활동가) 내담자로 방문했던 김민수 활동가는 내친김에 작년 가족상담 자격증을 땄다. 상담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삶의 진로까지 새로 생긴 셈이다. 그동안 주변 사람들에게 센터방문을 추천을 하고 싶었지만 교육장의 열악한 환경이 괜히 마음이 걸렸다고 했다. 하지만 공간개선사업 이후 그런 부담이 없어졌다. 세련되고 깔끔한 공간이 든든히 받쳐주고 있어서 요즘은 여기저기 알리고 다니느라 바쁘단다. 온돌공사가 된 덕분에 바닥에서 춤을 추는 프로그램도 진행할 수 있게 됐고 참가자들이 프로그램 후 다 같이 드러누워 한숨 자기도 한단다. 어린 아이들을 떼놓고 오기 힘들었던 엄마들의 반응도 좋다. 엄마가 상담 받는 동안 아이들은 옆에서 자거나 놀 수 있어서 마음 편히 데리고 올 수 있게 됐다. “너무 고마워요. 이렇게 여성들의 공간 자체를 바꿔주는 일이 쉽지 않아요. 그래도 앞으로 이런 공간들이 점점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여성들이 안정감과 행복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의미 있고 필요한 일이거든요.”(김순란 부소장) 공간에 변화의 힘이 더해지니 더 많은 사람들이 모이고 인연이 이어졌다. 그만큼 서로 나눌 위로와 사랑의 크기도 커졌다. 그 사랑으로 힘을 얻은 사람들은 다시 공간으로 모인다. 그리고 이번에는 그들이 받은 사랑을 누군가에게 나눠준다. 그렇게 대전열린가정폭력상담센터는 공간의 힘을, 변화의 힘을, 사람의 힘을 계속 키워나가는 중이었다. 공간의 힘, 변화의 힘, 그리고 사람들의 힘. 대전열린가정폭력상담센터에는 따듯한 힘의 선순환이 매일매일 이뤄지고 있었다. 원을 그리며 무한대로 뻗어나가는 이곳의 사랑이 끝내 폭력으로 인한 모든 이들의 상처를 품에 안아 주기를 바라고 기대한다.   글 ㅣ 이소망

목록

연관 W스토리

2023.06.07
사업이야기

[다문화이주여성가족 여성청소년 장학사업] YOUTH POWER 우수장학생을 소개합니다!②

2023.06.07
사업이야기

[다문화이주여성가족 여성청소년 장학사업] YOUTH POWER 우수장학생을 소개합니다!①

2022.02.14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Ⅲ 6명의 대표님을 소개합니다 🎦

2022.01.04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Ⅲ] 함께 꾸는 꿈은 반드시 현실이 된다 ‘최종 성과보고회’ 개최

2021.12.31
사업이야기

변화를 만드는 여성리더 지원사업

2021.12.06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최종 성과보고회 개최

2021.11.26
사업이야기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진행

2021.09.02
사업이야기

[Mom-Up Project] 내가 상상했던 공부방이 만들어졌어요!

2021.08.04
사업이야기

[소식지] 미래를 변화시킬 주역이 될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2021.08.02
사업이야기

[보도자료] EY한영・한국여성재단, 미래세대 여성청소년 19명에게 3년 연속 장학금 지원

2021.06.28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 ④ – 내일을 여는 내 일은 마을버스 기사입니다.

2021.06.10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 ③ – 서초11 새내기 마을버스 기사를 소개합니다.

2021.06.03
사업이야기

장학생 오리엔테이션 개최

2021.06.01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② – 마을버스기사를 향한 도전!

2021.04.30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① – 2% 비율,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1.04.01
기부이야기

“6년간의 배분위원회 임기를 마치며”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3.05
사업이야기

2020-21 My Future, My Business III: 위기를 기회로, 기회를 변화로_네트워크 워크숍

2021.03.03
기부이야기

한국여성재단과 연세대여성치과의사회와 함께 한 2020 [With Mom Project]

2021.02.26
사업이야기

이케아코리아-한국여성재단, 4년 연속 양육미혼모 지원사업 ‘맘업 프로젝트’에 1억원 기부

2020.12.15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1차 ~ 3차 역량강화 교육 진행

2020.10.26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개최

2020.09.24
사업이야기

[발표] ‘2020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최종 합격자 발표

2020.08.18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마을버스에서 만난 사람들 이야기 ‘마음버스’

2020.07.09
사업이야기

[Mom-Up Project]양육미혼모지원사업 홈퍼니싱 플래닝서비스 진행

2020.04.22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③

2020.03.23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②

2020.03.09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①

2020.01.13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참여자 격려 및 나눔의 밤 개최

2020.01.06
사업이야기

이케아코리아-한국여성재단, 3년 연속 양육미혼모 지원사업 ‘맘업 프로젝트’에 기부금 전달

2019.12.31
사업이야기

2019 변화스토리_더하기와 빼기: 안산여성노동자회

위로 가기
한국여성재단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사이트맵
  • 오시는 길
  • 여성가족부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재단법인 한국여성재단
주소 : (04001)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길 13(서교동) 한국여성재단빌딩 5층
전화 : 02-336-6364| 이메일 : womenfund@womenfund.or.kr| 대표 : 장필화| 사업자등록번호 : 220-82-03892
후원계좌 : 예금주 - 재단법인 한국여성재단 
(NH농협 1279-01-000251, 국민 079-01-0405-971)
미래포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