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한국여성재단
  • KR EN
  • 기부
    • 기부안내
    • 성평등 기금
    • W기금
    • SOS 기금
    • 건강지원기금
    • 고사리손 기금
    • 기업기부
    • 특별기념일 기부
      • 주제별 사업기부
  • 사업
    • 사업 안내
    • 성평등문화확산
      • 성평등사회조성
      • 여성안전
      • 수시긴급지원
      • 여성운동 생태계조성
      • 젠더폭력대응
    • 여성인권보장
      • 월경건강권
      • 봄빛장학
    • 여성임파워먼트
      • 여성활동가교육
      • 여성단체역량
      • 여성청년자립
      • 워킹맘교육
      • 여성예술인역량
    • 다양성존중과 돌봄사회
      • 미혼모 교육
      • 이주여성리더
      • 한부모이주여성
      • 해외청소년
      • 싱글맘돌봄
    • 대외협력
      • 여성회의
      • 세계여성재단
    • 지난사업
  • 소식
    • W스토리
      • 기부이야기
      • 사업이야기
    • 공지/공모
      • 공지
      • 공모
      • 발표
      • 초대
    • W뉴스레터
      • 전체
      • 2025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언론보도
      • 보도자료
      • 언론보도
    • 발행물
      • 발행물
      • 소식지
  • 소개
    • 재단소개
      • 인사말
      • 미션과 비전
      • 재단CI
    • 연혁
    • 함께하는 사람들
      • 조직도
      • 고문 및 이사회
      • 위원회
      • 홍보대사
    • 투명경영
      • 재정현황
      • 기부금
      • 공익법인 공시
      • 이사회 회의록
    • 공간 대관
      • 대관소개
      • 공간대관 신청
  • 나의 기부내역 확인
  • 기부금영수증 확인
  • 지금 기부하기
  • KR EN
  • 검색
  • HOME
  • 소식

W스토리

  • 사업이야기

[변화스토리] 공간의 힘과 가능성_부천여성노동자회/전북여성단체연합

2019.01.28

“안녕하세요.” 인사가 끝나기 무섭게 사무실 한켠에서 전화벨이 울린다. 급히 양해를 구하고 전화를 받으려 돌아서는 뒷모습이 어쩐지 안쓰럽고, 듬직하기도 했다. 오늘 방문은 미리 약속된 만남이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받아야만 하는 전화가 쉴 새 없이 울리는 곳이기에 기다리는 것쯤이야 얼마든지 괜찮았다. 그렇게 몇 통의 전화통화를 끝내고서야 겨우 마주 앉은 얼굴, 부천여성노동자회 김정연 대표다. “공간개선 과정에서 저 때문에 마음고생 하신 분들이 계실 거예요.” 김정연 대표가 머쓱하게 웃으며 말했다. 들어보니 여성재단은 물론 아모레퍼시픽복지재단 사업 담당자와 직접 통화를 불사하며 따져 물을 건 묻고 요구할 건 요구하고 했단다. 지원받는 단체라고 해서 주눅 들어 있거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필요는 없었다는 그의 당당함이 멋져보였다. 단체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이 만든 극성(?)이었기에 이해도 됐다. 부천여성노동자회는 30년 전 부천지역 여성운동의 시작을 알린 단체이자 성평등 노동이 현실화 되는 “내일”을 위해 늘 “오늘”을 꽉 채워 사는 곳이었다. 낮에는 노동 상담이 쉴 새 없이 이루어지고 야간엔 노동을 끝낸 여성들이 모여 교육, 회의 등의 모임이 항상 가득 차 있다. 부천여성노동자회가 지금의 자리로 이사 온 건 2002년, 냉난방 설계가 안 된 건물에 입주한 터라 겨울엔 석유난로를 끌어 썼고, 10년 넘은 에어컨 하나로 삼복더위를 버텼다. 그러면서 십여 년간 터져 나온 임금, 채용의 성차별 문제와 직장 내 성폭력 문제 해결에 앞장서느라 낡고 삭아가는 공간에 신경 쓸 여력이 없었다. 대부분의 회원이 비정규직 여성들이다 보니 후원금으로 시설을 보수, 개선하는 일은 가능하지 않았다. 공간보다 사람이, 사무실보다 노동현장의 문제가 더 중요한 곳이었다. 그러나 2018년 공간문화개선사업에 선정되어 교육공간을 개선했다.  

“저희가 있는 곳에 지하철역이 가까이 있어 접근성은 정말 좋은데, 공간이 따라주지 않아 실제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진 못했어요. 그런데 이번 사업에 선정되면서 편안하고 안정적인 공간이용이 가능해졌고 오시는 분들 발걸음도 한결 가벼워졌어요. 우리가 하고 있는 활동에 신선한 활력도 생기고요.” (부천여성노동자회 김정연 대표)

그리고 여기, 전북 전주에 터를 잡고 지속가능한 성 평등 사회를 위해 현장 안팎을 부단히 뛰어다니는 단체가 있다. 전북지역을 기반으로 둔 9개의 여성단체가 함께 모인 전북여성단체연합(이하 전북여연)이 그 주인공. 2018년에 30돌을 맞이할 정도로 역사 깊은 곳이다. 부천여성노동자회와 마찬가지로 2018년 공간문화개선사업 단체로 선정 돼 교육공간을 개선했다. “우리 소식지에 보라색을 입혀 준 분이세요.” 전북여연에 들어서자 김형선 사무국장이 잔뜩 신난 목소리로 누군갈 소개했다. 전북여연의 30년 된 후원 회원이자 날이 날인만큼 30주년을 알리는 소식지를 컬러로 (원래는 소식지를 흑백으로 제작해왔다), 그것도 당신이 직접 제안하여 바꾸는 데 도움을 주셨다고 한다. 소개 받은 회원분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며 이 공간이 얼마만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공간인지 새삼 실감했다. 사람들이 좋아하고, 그래서 모이고, 그렇게 모인 이들과 함께 세상을 바꾸는 데 헌신하는 일엔 늘 앞장선 전북여연이지만 쓰고 있는 공간의 열악함은 의욕과 열정만으로 바꾸는 데 한계가 있었다.   “오래된 한옥주택을 사무실로 쓰는 어려움이 있었어요. 출근 할 때마다 동굴 속으로 들어가는 기분을 느낄 정도로 창이 없고 천장이 낮아 어두웠고, 사무실과 교육공간이 분리가 안 되다 보니 조용히 인터뷰하거나 얘기할 공간도 없었고요.” (김형선 전북여연 조직국장) 애초에 사무공간으로 설계되지 않은 곳이었기에 공간구획이 효과적으로 나눠지지 않았고, 수납공간도 턱없이 부족해 공간 자체가 산만해 보이는 게 당연했다. 거기에 어둡기까지 했다니 그런 공간에서 하루 종일 있어야 하는 활동가들도 여간 고역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전에 없던 환함과 거기서 나오는 활기가 넘쳐난다.

“공간문화개선사업은 나를 아주 잘 알고 친밀한 친구에게 받은 선물과 같아요. 대충 고른 선물이 아니라 그 사람에게 딱 맞는 것을 골라주는 사이가 그렇잖아요. 우리가 원하는 공간이 무엇인지 함께 의논하고, 고민하고, 설계하고, 같이 세팅을 해 준다는 데서 의미가 커요. 소중한 친구에게 귀중한 선물을 받은 것 처럼요. 이번엔 저희가 선정됐지만 다른 여성단체들에게도 골고루 지원이 돌아갔으면 좋겠어요.” (전북여연 김형선 국장)

“좋은 환경을 갖출 여력이 없는 단체에게 이런 지원이 있다는 게 힘이 되고, 결과물을 통해 자긍심을 얻고 덕분에 좋은 에너지가 돈다는 게 정말 좋은 거죠. 공간은 그곳에 오는 사람들의 기운과도 연동되어 있어요. 이번 공간 개선을 통해 좋은 기운과 힘을 얻은 거죠. 이 사업이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남아 저희와 같은 다른 비영리 여성단체에게 보다 많은 지원을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요.” (부천여성노동자회 김정연 대표)

전북여연의 김형선 국장과 부천여성노동자회의 김정연 대표 두 사람이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바람을 밝혔다. 그만큼 이 사업이 특별한 것일 테다. 공간의 힘과 가능성을 일찍이 알아본 사업이고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많은 단체들의 온도 변화도 크다. 깨끗하고 밝게 바뀐 공간을 만날 때마다 기분이 좋지만, 그 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사람들의 진심을 들을 때 정말 마음이 따듯해진다. 더욱 중요한 건, 취재 차 들렀음에도 나 역시 뭐라도 하고 싶어서 엉덩이가 들썩여 진다는 사실이다. 두 단체를 만나고 돌아오며 문득, 이 사업의 진짜 힘은 이런 게 아닌가 싶다. 주저앉지 않게 하는 힘, 마음에 온기를 불어 넣는 힘 말이다.

목록

연관 W스토리

2023.06.07
사업이야기

[다문화이주여성가족 여성청소년 장학사업] YOUTH POWER 우수장학생을 소개합니다!②

2023.06.07
사업이야기

[다문화이주여성가족 여성청소년 장학사업] YOUTH POWER 우수장학생을 소개합니다!①

2022.02.14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Ⅲ 6명의 대표님을 소개합니다 🎦

2022.01.04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Ⅲ] 함께 꾸는 꿈은 반드시 현실이 된다 ‘최종 성과보고회’ 개최

2021.12.31
사업이야기

변화를 만드는 여성리더 지원사업

2021.12.06
사업이야기

My Future, My Business! 최종 성과보고회 개최

2021.11.26
사업이야기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진행

2021.09.02
사업이야기

[Mom-Up Project] 내가 상상했던 공부방이 만들어졌어요!

2021.08.04
사업이야기

[소식지] 미래를 변화시킬 주역이 될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2021.08.02
사업이야기

[보도자료] EY한영・한국여성재단, 미래세대 여성청소년 19명에게 3년 연속 장학금 지원

2021.06.28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 ④ – 내일을 여는 내 일은 마을버스 기사입니다.

2021.06.10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 ③ – 서초11 새내기 마을버스 기사를 소개합니다.

2021.06.03
사업이야기

장학생 오리엔테이션 개최

2021.06.01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② – 마을버스기사를 향한 도전!

2021.04.30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Ⅱ] 카드뉴스① – 2% 비율,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1.04.01
기부이야기

“6년간의 배분위원회 임기를 마치며”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3.05
사업이야기

2020-21 My Future, My Business III: 위기를 기회로, 기회를 변화로_네트워크 워크숍

2021.03.03
기부이야기

한국여성재단과 연세대여성치과의사회와 함께 한 2020 [With Mom Project]

2021.02.26
사업이야기

이케아코리아-한국여성재단, 4년 연속 양육미혼모 지원사업 ‘맘업 프로젝트’에 1억원 기부

2020.12.15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1차 ~ 3차 역량강화 교육 진행

2020.10.26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개최

2020.09.24
사업이야기

[발표] ‘2020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최종 합격자 발표

2020.08.18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마을버스에서 만난 사람들 이야기 ‘마음버스’

2020.07.09
사업이야기

[Mom-Up Project]양육미혼모지원사업 홈퍼니싱 플래닝서비스 진행

2020.04.22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③

2020.03.23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②

2020.03.09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취업성공 사례 카드뉴스①

2020.01.13
사업이야기

[경력보유여성 마을버스기사 취업지원사업] 참여자 격려 및 나눔의 밤 개최

2020.01.06
사업이야기

이케아코리아-한국여성재단, 3년 연속 양육미혼모 지원사업 ‘맘업 프로젝트’에 기부금 전달

2019.12.31
사업이야기

2019 변화스토리_더하기와 빼기: 안산여성노동자회

위로 가기
한국여성재단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사이트맵
  • 오시는 길
  • 여성가족부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SNS 바로가기
재단법인 한국여성재단
주소 : (04001)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길 13(서교동) 한국여성재단빌딩 5층
전화 : 02-336-6364| 이메일 : womenfund@womenfund.or.kr| 대표 : 장필화| 사업자등록번호 : 220-82-03892
후원계좌 : 예금주 - 재단법인 한국여성재단 
(NH농협 1279-01-000251, 국민 079-01-0405-971)
미래포럼
검색